2017. 11. 2. 17:28
시사 TALK
미 차기 연준 의장으로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제롬 파월이 선임되었습니다.
옐런과 유사한 성향을 갖고있다고 알려졌지요.
아마도 비슷한 성향이라면 금리 인상을 신중히 결정할 것입니다. 그때문에 오늘 채권금리가 하락(채권 가격이 상승)했죠.
미 금리 상승속도 완화 = 달러 약세, 즉 원화 강세를 점칠 수 있는 대목입니다. 실제로 오늘 환율은 1달러 = 1114.5원이네요. 최근들어 최저가인듯 합니다. 어느 정도 범위 안에서는 큰 영향은 없겠지만 1100원 이하로 떨어진다면 수출주들에 영향이 좀 있겠지요. 하지만 그렇다고 내수주에 큰 이득이 되지도 않을 듯 합니다. 어차피 반도체 수출액만 늘어나는 상황이라 환율에 따른 수출기업 총 합의 영향은 크게 없을거라 봅니다.
다만 어느정도의 원화 가치 유지를 위해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 상승 속도도 발맞추기에 들어가겠죠.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일테구요. 즉 급격한 통화 회수는 없을거라는 의미입니다. 한동안은 큰 충격 없이 자산 시장이 유지될 것으로 봅니다.
옐런과 유사한 성향을 갖고있다고 알려졌지요.
아마도 비슷한 성향이라면 금리 인상을 신중히 결정할 것입니다. 그때문에 오늘 채권금리가 하락(채권 가격이 상승)했죠.
미 금리 상승속도 완화 = 달러 약세, 즉 원화 강세를 점칠 수 있는 대목입니다. 실제로 오늘 환율은 1달러 = 1114.5원이네요. 최근들어 최저가인듯 합니다. 어느 정도 범위 안에서는 큰 영향은 없겠지만 1100원 이하로 떨어진다면 수출주들에 영향이 좀 있겠지요. 하지만 그렇다고 내수주에 큰 이득이 되지도 않을 듯 합니다. 어차피 반도체 수출액만 늘어나는 상황이라 환율에 따른 수출기업 총 합의 영향은 크게 없을거라 봅니다.
다만 어느정도의 원화 가치 유지를 위해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 상승 속도도 발맞추기에 들어가겠죠.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일테구요. 즉 급격한 통화 회수는 없을거라는 의미입니다. 한동안은 큰 충격 없이 자산 시장이 유지될 것으로 봅니다.
'시사 TAL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부의 코스닥 살리기 (0) | 2017.11.08 |
---|---|
P2P 대출 투자에 대하여 (0) | 2017.11.07 |
삼성전자 배당정책 (0) | 2017.10.31 |
단기 관심주 두산중공업, 현대건설 (0) | 2017.10.30 |
신고리 5,6호기 건설 (0) | 2017.10.22 |